1. 도메인 주소의 만료기간이 지났는지 확인해 본다. 정말 많은 경우 도메인 만료기간이 지난 줄 모르고 서버나 프로그래밍의 문제에서 홈페이지가 안열리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2.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체크해 본다. 특히 로그파일의 증가로 디스크가 Full이 난 경우 갑자기 홈페이지가 안들어 가진다.
※ 로그파일 삭제
[root@www]# cat /dev/null > access_log.1
3. 동시접속자의 한계를 넘어섰다. 아파치의 경우 netstat -nat | more 로 http 프로세수 갯수를 확인해 본다.
4. DB 접속 계정에 뭔가의 문제가 있다.(패스워드 기간 만료등을 체크해 본다.)
5. 해킹으로 인해 index 파일의 변조가 발생했다. index 파일의 변경일자를 확인해 보고, 소스상에 이상한 부분이 있으면 제거한다.
6. 기타 확인할 수 없는 문제 -> 리부팅
7. 리부팅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 -> OS 재설치
2.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체크해 본다. 특히 로그파일의 증가로 디스크가 Full이 난 경우 갑자기 홈페이지가 안들어 가진다.
※ 로그파일 삭제
[root@www]# cat /dev/null > access_log.1
3. 동시접속자의 한계를 넘어섰다. 아파치의 경우 netstat -nat | more 로 http 프로세수 갯수를 확인해 본다.
4. DB 접속 계정에 뭔가의 문제가 있다.(패스워드 기간 만료등을 체크해 본다.)
5. 해킹으로 인해 index 파일의 변조가 발생했다. index 파일의 변경일자를 확인해 보고, 소스상에 이상한 부분이 있으면 제거한다.
6. 기타 확인할 수 없는 문제 -> 리부팅
7. 리부팅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 -> OS 재설치
'호스팅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드밸런싱의 적용 방식과 L4 임대 방식 이용 비용 (0) | 2011.06.15 |
---|---|
IPv4 주소고갈과 2011년 IPv6 시대 (2) | 2011.02.01 |
동시접속자 수 1000명 이상을 위한 추천 사양 (2) | 2009.02.19 |
해외 각국에서 내 서버의 ping 값은? (0) | 2008.12.13 |
HTTP 에러코드와 상태 코드 정리 (0) | 2008.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