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운영할 때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이 서버가 과연 얼마나 많은 동시접속자가 발생할까 하는 문제입니다.
이 부분은 정확히 계산을 통해 산출될 수 있는 사항은 아닙니다.
DB Connection이 얼마나 필요한지? 쿼리 속도는 평균 얼마나 나오는지? 각 페이지의 데이터가 얼마인지? 사용자의 이용빈도수는 어떤지? 등에 대한 복합적인 변수가 모두 고려되어야 하니까요.
대략 켄츠필드급 1CPU /2G램 에서는 500명 정도를 최대치로 생각하시면 되고, 이 보다 더 많은 동시접속자가 필요하다면 2 Way 급의 서버를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 사양이라면 1000~ 1500까지 동시접속자를 가질 수 있는 사양이 될겁니다.
Xeon 5405 듀얼 CPU 장착
메모리 : 8G (FBDIMM PC2-5300) - 1G 짜리 8개를 장착하는 것이 유리한 듯합니다.
OS : 64 Bit
HDD : 73G SAS 3개이상(레이드 5)
단 DB쪽 쿼리가 많이 복잡하지 않아야 합니다. 서버의 동시접속자수는 DB Connection 수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짜피 웹페이지쪽은 저사양의 서버도 동접 1000명은 무난히 커버하니까요.
어짜피 웹페이지쪽은 저사양의 서버도 동접 1000명은 무난히 커버하니까요.
위의 사양으로 서버를 구성하시려면 대략 400만원~500만원 정도의 서버 구입비용이 발생합니다.
앞으로 서버의 CPU는 매년 2배씩 증가한다고 하면, 내년쯤이면 300만원 내외에서 이런 구성을 할 수 있을 겁니다.
'호스팅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4 주소고갈과 2011년 IPv6 시대 (2) | 2011.02.01 |
---|---|
홈페이지가 열리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 (0) | 2009.03.12 |
해외 각국에서 내 서버의 ping 값은? (0) | 2008.12.13 |
HTTP 에러코드와 상태 코드 정리 (0) | 2008.03.18 |
스팸메일에 대한 통계와 극복 방안 (0) | 2008.03.11 |